교육관련 공부

풍경화 속 견고한 신념

밤하늘의별빛 2023. 11. 26. 09:00

어렸을 때 고요하고 차분한 풍경화들이 여느 인물화보다 좋았다.

나의 조용한 성격을 괜찮다고 다독여주는 것처럼 느껴져서 호감이 간 것 같다.

그러다 문득 생각이 들었다. 화가들은 왜 말 없는 자연을 화폭에 담았을까?

옛날에는 사진기가 없었기 때문에 그렸을 수도 있었겠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살펴보니 풍경화를 그리는 이유가 꽤 다양했다.

이번 시간에는 풍경화의 개념, 풍경화의 특징. 국가별 풍경화의 관점과 관련 표현기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풍경화의 개념

풍경화의 특징

국가별 풍경화

풍경화 관련 표현기법

 

풍경화의 개념

고대부터 자연은 그림 속 인간, 동물의 뒷배경 역할을 할 뿐이었다.

물론 자연을 주제로 그리는 화가들도 있었으나 본격적인 테마가 된 것은 17세기 네덜란드부터였다.

Landscape 역시 그 어원이 네덜란드이다.

최초의 순수한풍경화는 이탈리아와 플랑드르의 중간에 위치한 다뉴브 지방에서 그려졌다. ‘그림은 이야기를 전달해야 한다는 인습을 깨뜨린 사람은 알트도르퍼Albrecht Altdorfer(1480~1538)로서 유화, 에칭, 수채화 등에서 풍경 그 자체를 수용 가능한 주제로 만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종교 개혁은 풍경화의 발달에 마지막 박차를 가했다. 그러나 이때의 풍경화에는 자연주의적인 작품은 드물며, 상당히 엄격한 공식에 맞춰 배열한 환상적 주제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현대 미술은 사실성에서 후퇴하여, 루소 Henri Rousseau(1577~1640)를 추종하는 일요화가들만이 아직도 풍경을 성실하게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20세기의 초현실주의 화가들은 몽상적 풍경화의 매력과 공포를 발견했으며, 한편 세잔느에게서 입체주의 화가들로 이어지는 여러 추상, 반추상 계열의 화가들은 풍경을 정물의 일종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출처: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895304&cid=42642&categoryId=42642

 

동양에서는 일반적으로 산수화라 한다. 중국 고래의 신선사상에 기반을 둔 신선산수에서 다소라도 벗어난 자연관조(自然觀照)에 의한 산수화는 당대(唐代)에 시작되어 송대에서 완성되었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4868&cid=42635&categoryId=42635

 

2. 풍경화의 특징

1) 원근감을 표현한다.

2) 계절감을 표현한다.

3) 같은 풍경 내 다른 표현이 이루어진다.

 

3. 국가별 풍경화의 관점

1) 네덜란드

칼뱅주의를 토대로 신이 만들어낸 자연의 완벽함을 표현하였다.

미술사학자 마르틴 드 클레인(Maarten de Klijn)에 의하면 네덜란드의 미술에서 사실적인 풍경화를 태동시킨 것은 세속적인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니라 개혁주의였다.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603673&code=11171396&cp=nv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델프트 풍경이다.

베르메르는 불과 2점의 풍경화를 그렸다. 풍경화 중에 델프트 풍경(헤이그 국립미술관 소장)은 명작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네덜란드의 부국과 원양어업의 전성기를 반영하는듯 회화적 기법의 극치와 평화로움의 절정을 잘 균형잡고 있다.

이미지 출처: 위키백과

 

2) 프랑스&영국

(1) 프랑스- 클로드 로랭의 신화에 대한 사랑

대표 화가로 클로드 로랭이 있다.

고전적인 선례들에 기초를 둔 그의 그림 속 인물들에서는 라파엘로의 영향이 보인다. 또한 그의 그림들은 전반적으로 더욱 웅장하고 더욱 형식적인 구조를 갖게 되었다. 그림같이 아름다운 세부묘사는 줄어들었고, 그는 구약성서나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와 같은 신화 이야기에서 주제를 찾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클로드 로랭 [CLAUDE LORRAIN] (501 위대한 화가, 2009. 8. 20., 스티븐 파딩, 위키미디어 커먼즈)

url: https://youtu.be/nT_vPNWn38Q?si=Qecw6w0HyOihbXSx

영상 속 양정무 교수에 따르면 클로드 로랭은 신화적 이야기를 풍경화에 담을 때 원래 풍경보다 더욱 이상화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중시했다고 한다. 참고로 캡처본의 성 우르슬라의 항해는 1점 투시도법으로 집중감을 고조시킨다.

 

(2) 영국- 신화를 담아내거나 과거를 담기

클로드 로랭의 작품에 깊은 인상을 받은 윌리엄 터너는 빛의 표현을 가미하여 로랭의 작품을 뛰어넘으려 하였다.

터너도 마찬가지로 신화 속 상황을 풍경으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그 밖에 풍경화를 그리게 되는 화가들의 이유 중 하나는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줄어든 숲의 그리움 때문에 화폭에 담았다.

 

3) 독일

전원경 작가님의 예술, 역사를 만들다책 중 내용 중 독일의 풍경화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p363 ‘건음 숲이라고 불리는 울창한 독일의 숲은 예로부터 독일의 각종 전설과 민담의 배경이 되었고, 독일 중세 예술의 주요한 장르인 목공예의 재료를 제공해 주기도 했다. 숲을 그린 최초의 풍경화가 16세기 초반 독일에서 등장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p364

다시 말해서 은 독일의 낭만주의와 민족주의를 연결시키는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p367

프리드리히와 그의 동료였던 룽케는 모두 풍경화를 일종의 예배처럼 숭배했으며, 자신들의 풍경화를 통해 신에게 한 발자국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리라고 믿었다.

안개바다 위의 방랑자

이미지 출처: https://www.viewsnnews.com/article?q=60471

이미지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702&docId=1543852&categoryId=46753

 

4) 중국

동양 산수화 이론의 핵심인 와유론을 처음 거론한 이는 중국 남조 유송劉宋의 화가이자 미술이론가였던 종병宗炳(375-443)입니다. 그는 평소 명산 관광을 즐겼으나 노년에 원행하기 어려워지자 산하를 그려, 벽에 붙이고 누워서 회억하며 지냈다고 합니다. 마치 지금처럼 핸드폰에 저장된 사진을 뒤적이듯 말입니다. 1839년 폭스 탤벗이 사진기를 발명하기 이전에는 회화와 판화, 드로잉이 회상의 역할을 한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출처 : 뉴스티앤티(http://www.newstnt.com)

 

5) 한국

몽유도원도 외에 방곽희추경산수도가 있다.

 

6) 일본

https://blog.naver.com/flowerbud21/221416366199

 

4. 풍경화 관련 표현기법

1) 원근법

(1) 서양의 원근법

투시 원근법: 1점 투시두법, 2점 투시도법, 3점 투시도법 등 소실점의 수에 따라 구분한다. 소실점의 높이로는 앙시(올려 보는 것), 중심, 조감(내려 보는 것) 투시로 나뉜다.

공기 원근법: 가까운 대상은 선명하고, 먼 대상은 연하게

중첩: 겹쳐서 원근 표현하기

 

(2) 동양의 원근법=3원법

동양의 투시 원근법으로 불리는 삼원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원법으로 앙시투시와 같다.

둘째, 평원법으로 중심투시와 같다.

셋째, 심원법으로 조감투시와 같다.

 

2) 구도

(1) 대각선 구도: 강한 원근감을 느낄 수 있다.

(2) 수평 구도: 조용함, 평화로움을 갖는다.

(3) 수직 구도: 엄숙하고 경건한 느낌.

(4) 호선 구도: 커다란 움직임을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