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영화감상

[감자] 복녀,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정신 억압

밤하늘의별빛 2022. 2. 15. 22:49

김동인... 당신이란 사람을 처음 접했을 때는

참 재능있는 사람이라 생각했다.^^

 

근데 당신의 친일적 행위와 김연실전 논란을 보고

참 많은 생각이 들더라.

 

어쨌든 [감자]라는 작품은 당신이 쓴 것 중에서 제일 좋은 작품이다.

감자라는 논문?이라기 보다는 서평에 가까운 논문을 접했는데 꽤 인상적이었다.

중국인 두 명이 썼는데 꽤 괜찮은 해석이었다.

 

해당 출처 또는 논문 제목은 다음과 같다.

도덕적 타락과 자의식 성장의 이중적 서사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95054/1/03%20%E8%B6%99%E6%BD%94%2C%20%E8%8B%91%E8%8B%B1%E5%A5%95.pdf

 

요약하면 소설 감자와 헤겔의 자기의식을 연관시킨 것이다.

 

정신이란 메타인지 같은 것이다.

나는 살아가고 있다.

나는 을 생각한다.

1번 뿐만 아니라 2번을 인지하는 것이다. 생각하는 것을 생각한다!!

 

헤겔은 세계의 근원을 정신으로 보았다.

또한 정신의 목적은 절대정신이 되려는 것이다.(목적론적 사고)

우리나라 사람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런 사고방식을 가졌다.

ex) 인류의 진보, 더 나은 삶

그렇다면 절대정신의 단계 중 하나인 자기의식이란 무엇인가?

개인적 측면과 공동체 측면이 있다.

개인의 정신: 한 개인으로서의 정신. 유한하다.

공동체 정신: 개인의 정신보다 오래 지속된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아래의 링크를 확인하면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PRcDeUwGGYo

 

어쨌든 자의식이 감자의 핵심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여성중심적 자의식에 초점을 두었다.

주인공 복녀는 그 시대상이 요구한 타자 지향적 역할, 가부장적 여성상에 일침을 가했다.

 

물론 남성중심적 자의식도 김동인이 다룬 바 있다.

단편소설 [태형]에서 1인칭 시점의 가 그 시대가 요구한 계급중심적 역할, 가부장적 남성상에 의문을 제기했다.

어쨌든 내 서평은 감자이기 때문에 복녀 위주로 리뷰를 쓰겠다.

 

비록 복녀라는 이 여성은 도덕적 타락이라는 이성적이지 못한 행동이다.

헤겔로 보면 그녀는 자의식 단계에서 머무른 채 죽음을 맞이했다.

출처: https://blog.aladin.co.kr/753199155/popup/7151675

그렇지만 그녀는 시대상의 불합리에 몸부림치며 어떻게든 살아남으려고 했다.

일제강점기까지 여자에게 요구했던 여자는 남자에게 희생해야 하고 고분고분해야 한다의 그 사상을

도덕적 타락으로 깨부수고 자기의식을 높였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복녀는 왜 자기의식에서 이성으로 올라갈 수 없었던 것일까?

그것이 바로 시대상의 한계였다.

 

도덕적인 여성이라는 것은 참 이상적이고 바람직해 보인다.

복녀 자신도 처음에는 그런 여성관이 최선이라고 믿었으니까.

그러나 그 여성관은 복녀를 지켜주지 못했다.

 

내가 복녀라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

부모가 시키는 대로 남자에게 팔려가서 구걸을 하고 다녔을까.

 

사실 현대 시점에서라면 복녀에게 이렇게 말할 것이다.

복녀! 넌 그런 짓을 하면 안돼. 하늘이 두렵지도 않아?

장사를 하거나 공부를 해서 더 나은 미래를 꿈꿔야지.”

 

헤겔은 이렇게 말한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저물어야 그 날개를 편다.”

즉 우리가 일제강점기에 살았다면 그런 생각 자체를 못했을 것이다.

 

복녀가 물론 개인적으로 잘못한 것은 당연히 있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할 것은 복녀의 타락된 도덕관뿐만 아니라

자유를 억압하는 일제강점기같은 사상의 문제점을 간파해야 한다.

그리고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우리는 나아가야 한다.

 

일제강점기는 어찌되었든 여성, 남성 모두에게

자유를 억압하고 정신을 억압했다.

시대라는 거대한 태풍을 피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우리가 일구어낸 새로운 시대정신에 맞추어

후퇴하지 않고 더 나은 정신을 가지려고 몸부림치자.

비록 복녀는 자기파멸이라는 길에 올라섰지만

우리는 그녀의 실패한 점을 명심하며 더 높은 정신을 얻기 위해 몸부림치자.

 

+ 김동인에 대한 팩트를 알고 싶으면 여기 방문하셔도 됩니다...

[한국의 문예비평] 동인문학상 적절성 논란 속 들여다보는 ‘야비한 자연주의 - 김동인론’ (2) - 뉴스페이퍼 (news-pap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