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통합교육의 인풋 아웃풋,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밤하늘의별빛 2021. 10. 15. 21:16

이미지 출처: https://wonderfulmind.co.kr/curriculum-modification-for-students-with-special-needs/

 

교육과정 수정의 개념과 원리

Q. 교육과정 수정...이 뭐예요?

보통은 공통 교육과정, 선택 중심 교육과정처럼 일반교육과정으로 공부하겠지요. 그렇지만 장애학생의 경우 누군가는 적응을 잘 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학생들이 많아요. 그래서 일반교육과정을 쓰되 보조공학을 제공한다던가, 협동학습을 한다던가.. 아니면 기본교육과정으로 대체한다거나 그런 경우겠지요. 그러니까 말 그대로 교육과정을 약간 바꾼다는 것이죠.

 

1)교육과정의 수정의 유형 3가지

(1) 교육과정적 수정: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수정

(2) 교수적 수정: 어떻게 가르치고 학생이 배운 것을 어떻게 나타낼 것인가를 수정

(3) 생태학적 수정: 시간과 장소를 같이 하는 사람들을 수정

 

(1) 교육과정적 수정

이미지 출처: 교보문고

-내용 단순화, 대체적 유형 변화.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단순화: 동일한 내용을 난이도가 조금 낮은 활동으로 바꾸기

-대체적 변화: 일상생활 활동들에의 참여에 필요한 기술에 강조

 

Q. 교육과정 수정이랑 교육과정적 수정이랑 차이가 뭐예요?

A. 교육과정 수정= 교육과정 수정하는거. 교육과정적 수정= 내용 단순화, 대체적 변화하는 것.

이미지 출처: [아웃풋 트레이닝]의 기본 법칙 중

URL: http://m.blog.yes24.com/dongzuk/post/11135157

(2) 교수적 수정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의 측면과 장애학생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가의 측면 두 가지

투입이건 산출이건 두 가지 다 난이도 혹은 양의 수준, 반응 감각 양식, 형식 혹은 자료의 세 가지 면에서 수정되어 질 수 있다.

-주의할 점: 가능하면 필요할 때만 해야 하고, 간단해야 하며, 장애학생에게 장애라는 낙인이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접근이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는 교사의 계획적이고 구조화된 접근을 통한 투입 수정이 더 적절하게 부합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bakersfieldspeedway.com/schedule-change-for-september-8th/

(3) 생태학적인 수정

장애학생이 성공할 수 있도록, 교수 장소와 사람들 수 혹은 배열, 시간표 혹은 일정, 교수자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수정 방법을 사용할 때는 정기적인 평가를 실시해서 장애학생이 너무 의존하지 않고 자기 관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2) 효과적인 수정이란?

개인의 지적, 신체적, 감각적, 행동적 어려움을 보상하기 위해 도움을 제공한다.

개인이 새로운 것을 획득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동시에 현재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의 기술일반교육의 수업 내용 간에 잘못된 연결을 방지한다.

학생의 현재와 미래의 삶에 적절하도록 추상적인 정보와 수준을 낮춘다.

학생의 학습 양식과 교사의 교수양식을 서로 적절하게 연결시킨다.

 

3) 교수적 수정 단계

첫째, 학생 이해와 학습양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장애학생의 유형과 정도 그리고 강점과 약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또한 장애학생의 학습양식을 이해하고 적절한 교수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가르칠 내용과 그에 따른 , 단기 목표를 결정한다.

이 경우 과제분석을 통하여 목표를 세분화하고 학생의 개별 특성에 따라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해야 한다.

목표 설정 시 장애학생의 인지, 언어능력 등이 이들의 학습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수방법을 결정한다.

장애학생은 다양한 개인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수, 학습과정에서 장애학생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 학습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수업 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방법으로는 탐구학습모형, 의사결정 수업 모형, 협동학습모형, 토론 수업, 역할극과 시뮬레이션, NIE 등 다양한 교수방법이 있다.

 

4) 교육과정 수정 대상 항목

: 교수환경, 교수집단, 교수전략 및 교수자료, 교수내용, 평가 방법, 과제, 행동 관리 등 통합학급의 전반적인 교육환경의 수정, 보완하고 조절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과정 수정의 대상 항목과 그 내용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좀 전에 교수과정 수정 대상 항목을 얘기했지요? 그걸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것이 바로 다음 내용입니다. 같이 보시죠!

2. 교육과정 수정의 유형과 실제

 

1) 교수 환경

-물리적 환경의 변화

-사회적 환경의 변화: 소속감, 평등감, 존중감, 협동심 등

2) 교수적 집단화의 수정

이미지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3684972#home

-의미: 교육 내용을 가장 적합하게 교수하기 위해 교사가 사용하는 학생들의 교수적 집단화

-종류: 대집단 교수, 소집단 교수, 협동학습, 또래 파트너, 또래 교사, 1:1 교수, 자습

3) 교수 방법의 수정

교수활동

-과제의 난이도,

교수전략




각 이미지 출처:

https://www.seubu.or.kr/xe/menu43/37902

http://www.kbufac.or.kr/Blind/Instrument

https://band.us/page/76021973/post/81

https://www.greelane.com/ko/%ec%9e%90%ec%9b%90/%ed%95%99%ec%83%9d-%eb%b0%8f-%eb%b6%80%eb%aa%a8%eb%a5%bc%ec%9c%84%ed%95%9c/three-different-learning-styles-3212040/

 

-수업형태: 주제 중심적, 활동 중심적(게임, 모의실시, 역할놀이, 발표 등), 경험적 수업 형태 및 지역사회 중심의 수업 형태를 강의식 수업에 필수적인 보충으로 적용한다.

-교육공학 및 보조공학

-행동 강화 전략

-정보 제시 및 반응 양식: 전체제시 방법, 부분제시 방법, 감각적 학습 양식

교수자료

-대안적 교육 자료 사용

4) 교수 내용

-의미: 일반교육과정의 내용을 장애학생의 독특한 교육적 욕구와 기술의 수행 수준에 적합하게 다양한 수준으로 수정하는 것을 의미

-단계:

(1) 장애학생의 IEP에 있는 현행 수준, 연간목표 및 단기목표에 대해 상세하게 검토한다.

(2) IEP 목적들을 하위 기술과 개념들로 세분화한다.

(3) 이 단계를 거쳐 대상 학생의 목표와 목적을 일반학급의 대부분의 학생들과 같이 할 수 있으면, 내용에서는 수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교수 환경, 교수 방법, 평가 방법에서 수정을 요구한다.

-방법: 교육과정 내용을 보충, 단순화, 변화

-교육 내용 수정의 5등급

1등급: 같은 활동과 같은 교수목적, 같은 교수자료

2등급: 같은 활동의 좀 쉬운 단계, 같은 교수자료

3등급: 같은 활동, 다른 교수목적 교수자료

4등급: 같은 주제, 다른 과제와 다른 교수 목적

5등급: 다른 주제, 다른 활동

 

Q. , 잠깐만요! 여기 나오는 교수 내용의 수정이 교수적 수정 단계랑 비슷한데요? 어떡할 겁니까 해명하시죠!

A. 교수 내용 수정은 IEP를 검토하고 세분화하고 그 이후에 필요한 경우 교수 환경, 교수 방법(교수 활동, 교수 전략, 교수자료), 평가방법을 좀 더 손본다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IEP를 열심히 보는 거겠지요? 반면 교수적 수정 단계는 교수 방법을 좀 더 초점을 둡니다. 결론은 교수 내용 수정은 IEP, 교수적 수정은 교수 방법이 핵심적이다고 보면 됩니다.

 

5) 평가 방법의 수정

-의미: 평가 방법의 수정은 학업 수행의 진보에 대한 매일의 측정과 성적 기준을 수정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일반학급에서 교수 내용의 수정과 교수 환경, 교수적 집단화 및 교수 방법에서의 교수적 수정으로 수업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학생의 경우, 시험 시간을 길게 해 주는 것, 짧은 시험을 자주 보는 것, 시험을 위해 시험 가이드를 제공하는 등의 일반적인 수정을 평가에서 사용할 수 있다.

(1) 대체 평가

-IEP 점수화: IEP에 근거한 수행수준이 학교계획의 수행 기준으로 변환된다.

-습득 또는 준거수준 점수화: 내용이 하위 구성요소로 나누어진다. 습득이 정해진 수준에 도달하면 학점을 얻는다.

-다면적 점수화: 능력, 노력, 성취와 같은 몇몇 영역에서 평가되고 점수를 받는다.

-공동점수화: 두 명 이상의 교사들이 한 학생의 점수를 결정한다.

-항목점수체계: 활동들 혹은 과제들에 점수가 할당되고 그것들은 학기말 점수로 더해진다.

-학생 자가 평가: 학생들은 각각 자신들을 스스로 평가한다.

-포트폴리오 평가: 각 학생의 작업이 한 누가적 포트폴리오로 보존된다.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주요기술 영역들에서의 성취를 나타낸다.

-루브릭 평가: 성취 수준에 대한 묘사를 토대로 작업의 질을 평가하는 채점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2) 대안 평가(평가 조정)

-제시 형식: 점자 시험지, 확대경의 사용, 큰 글씨로 인쇄된 시험지, 지시사항을 낭독하기, 수화, 지시사항 해석

-시험 환경: 칸막이 책상에서 혼자 시험 보기 등

-답안 형식: 시험지에 답 표시하기, 답 쓰기 위한 틀 사용하기, 답을 손으로 가리키기

-시험 시간: 추가시간 제공, 시험 보는 동안 휴식시간 더 많이 주기

이미지 출처: http://bstc.or.kr/kor/CommIntro/depart03.php

Q. 평가조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A. 평가조정이란 평가 본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문항의 제시 형태, 반응 형태, 검사시간, 검사환경 등을 조정하는 것과 같이 평가 전, , 후에 이루어지는 일체의 노력을 의미한다.

필요성: 불이익 없이 평가에 참여하기 위함

IEP에 따른 학업 성취도 평가 실시를 위함

평가 조정과 관련된 쟁점:

(1) 윤리적 측면: 학급 구성원 간의 형평성 고려

(2) 방법적 측면: 평가 시작 전, , 후 성적처리 과정과 경증에 따라서

(3) 행정적, 제도적 측면: 평가 마친 후 일반학생의 평가, 장애학생의 평가를 어떻게 보고하는 것이 적절한지 고려

평가조정 시 유의점: IEP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최소한의 조정을 한다.

관리자 및 교사의 역할: 특수교사의 역할- 학업 성적관리 위원회에 참석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평가조정 내용이 학업성적 관리 규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평가조정의 구체적 예시:

(1) 시간/일정 조정: 시험시간 연장

(2) 환경 조정: 각도 조절 책상 제공

(3) 제시 방법 조정: 시험지 확대

(4) 반응 방법 조정: 대체 문항 제공, 청각 보조기 사용(듣기평가 시)

 

3. 교수적 수정의 절차

1)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팀이 교수계획을 구축하는 데 고려해야 할 점

-교육팀은 장애학생이 교육적인 성과를 성취하기 위해서 필요한 교수적 수정의 성격과 지원들을 결정한다.

-교육팀 구성원은 교수가 어떻게일어날 것인가를 결정한다

-교육팀은 일반교실 활동들에서 어떻게 하면 장애학생의 물리적, 사회적, 교수적 통합을 최대화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여러 방안을 강구한다.

2) 교주거 수정의 적용 절차

1단계: 장애학생의 IEP 장단기 교수 목표 검토

2단계: 일반학급 수업 참여를 위한 특정 일반교과 선택

3단계: 일반학급 환경에 대한 정보수집

4단계: 일반교과 수업에서 장애학생의 학업수행과 행동의 평가

5단계: 선택된 일반교과의 한 학기 단원들의 학습목표들을 검토 후 장애학생의 한 학기 개별화된 단원별 학습목표들의 윤곽 결정

6단계: 장애학생의 수업 참여를 위한 교수적 수정 유형의 결정 및 고안

7단계: 개별화된 교수적 수정의 적용 및 교수적 수정이 적용된 수업 참여의 양과 질의 평가

 

4. 교수 적합화

1)개념

이해: 국내에서는 이를 교수적 수정, 적응교수 등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용어를 수정이라고 해석하면 수정과 조절이 지닌 각각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 곤란을 겪게 되며, 역동적 및 반응적 그리고 탄력적 특성을 표현하지 못한다고 본다.

교수 적합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구체적인 이유는

첫째, 다양한 학생들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유연하고 반응적이며 탄력적으로 변화하여 부합한다는 의미에서 사용하였다.

둘째, 정적인 것이 아니라 동적으로 움직이고 진행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라는 것을 추가하였다.

 

Q. 수정, 조절의 적용대상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수정: 중등도, 중도 장애학생

조절: 일반학급에 재학중인 경도 장애 학생

 

2) 교수 적합화의 정의, 원리, 유형

정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지닌 학생들의 수행의 향상과 수업 참여의 범위와 양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교수 환경, 교수 집단, 교수 내용, 교수 방법, 평가 방법을 포함하는 교육의 전반적인 환경을 조절하고 수정하는 과정이다. 유관적 교수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원리: 개인의 지적, 신체적, 감각적, 행동적 어려움을 보상하기 위해 도움을 제공한다.

유형: 일상적 적합화(모델의 제공), 실제적 적합화(난이도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