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특수교육법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거지?

밤하늘의별빛 2022. 7. 4. 18:20

511일에 1회독을 끝내고 632회독 완료. 그리고 6303회독 완료.

하지만 회독이 끝나면 끝날수록 내가 뭔가 잘못하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

왜 회독이 거듭될수록 자신감이 떨어지는 걸까?’

 

문득 내가 특수교육법을 잘못 공부하는 것은 아닐까 의심이 들었다.

그리고 기출 분석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뭔가 조치를 취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022년에는 특수교육법이 한번도 나오지 않았다. 이게 뭐지....

뭔데... 왜 나만 모르는 건데.

2021년에는 완전 간단한 특수교육법 문제가 나왔다. 뭐하자는 거임...

 

그리고 곰곰이 생각해봤다.

매번 논술에 특수교육법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또 문제가 나와도 그게 틀린 문장인지 아닌지에만 쓰인다니.

개별화교육이 몇 조였고 어떤 내용이 있었으며 관련 규칙(+규칙 내용)을 간단하게라도 알고 있어야 한다.

 

통암기를 해야 하는 문제도 나오긴 한다. 대표적으로 시행령 제12조를 묻는 문제이다.

출제 가능성이 있는 통암기 조항은 시행령 제20조의 21항정도고 나머지는 핵심 정도만 암기하는게 맞다.

 

결론: 구조화 및 핵심 인출을 할 줄 알아야 한다.

 

학습 방법

익숙 X: 키워드 암기하기

익숙 O: 특수교육법, 시행령 연계하기 & 키워드 도출하기

어느정도 자신감: 특수교육법, 시행령, 규칙 연계하기 & 제목/키워드 전부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자신감: 통암기(조사같이 간단한 것들은 틀려도 상관없음)

 

최종적으로는 나만의 3단표를 만들도록 하자.

그래서 쉽게 구조화하고 떠올릴 수 있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