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장애의 원인
1. 조음기관 구조장애
① 혀 : 혀는 매우 중요한 조음기관이다. 혀가 손상되거나, 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절제한 경우 말소리 산출에 영향을 준다.
② 경구개 : 경구개에 문제가 있는 경우 가장 대표적인 예는 구개파열이다.
구개의 파열은 구강과 비강의 구분을 어렵게 하므로 공명장애가 생긴다.
③ 연구개 : 구개의 파열이 연인두까지 미친 사람들은 연인두 폐쇄가 제대로 되지 않아
모든 말소리가 비음화 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를 “연인두 부전” 이라고 한다.
④치아의 부정교합 :
원심교합 - 뻐드렁니, 윗니가 아랫니를 덮는 부정교합
근심교합 - 주걱턱, 아랫니가 윗니를 덮고 있는 부정교합
이개교합 - 입을 다물어도 윗니와 아랫니 사이가 벌어지는
부정교합
⑤입술: 양순음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조음기관이며
대표적인 예는 입술 파열이다.
청각장애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은 말소리 산출기관이나 신경계 문제가 없기 때문에 말소리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은 가지고 있지만 청각장애로 인하여 말소리를 들을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말소리를 산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신경운동적 병리
조음기관의 근육들을 통제하는 신경계의 병변으로 인해 관련 근육들의 기능 이상
- 마비말장애 (마비성 구어장애) : 말 산출 운동 실행에서의 장애
- 말실행증 (구어실행증) : 말 산출 운동 프로그래밍의 장애
언어인지적인 요인
- 음운 인식 : 말소리의 단위를 나누거나 합설할 수 있는 능력에서의 문제 조음음운장애를 지닌 아동들이 언어발달에서 문제를 보일 가능성이 높음
환경적인 요인
- 부모와 관련된 요인 : 부모가 청각장애인인 경우
- 주변 환경과 관련된 요인 : 언어적 자극을 받지 못한 채 성장한 경우 (늑대소년)
다문화 가정
두 화자의 언어학적 차원에 문제가 없어도 화자의 언어학적 차원과 청자의 언어학적 차원이 서로 맞지 않으면 즉 다른 언어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의사소통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미국인 부모와 한국인 자녀)